펠티어 효과 (Peltier Effect)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금속&반도체 등)이 2개의 접점을 가지고 있을 때 두 금속 양단에 전위차를 걸어주면, 전위의 이동에 의해 열의 이동이 발생하는 현상

 

 

열전소자 구조

열전소자 구조는 위 사진처럼 구성되어 있으며, 전류 방향을 반시계 방향일 때 ①금속은 발열(뜨거워짐), ②금속은 흡열(차가워짐)된다. 반대로 전류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바뀌면 ①금속은 흡열(차가워짐)되고, ②금속은 발열(뜨거워짐)된다.

*열전소자 흡열 상태일 때 발열부는 칠러로 냉각이 필요함

 

열전소자 적용분야

 - 가정용 : 제습기, 냉-온정수기, 차량용냉장고, 에어컨, 자동차 통풍 시트 등

              *열을 식히거나 가열이 필요한 대부분의 제품에 적용 가능함

 - 의료기 : 항온조, 혈액보관기, 발열기 냉각용 등

 

 

----------------------------------------------------------------------------------------------------------------------

- 부정확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추가 필터링하여 업데이트 할 예정

연구 자료를 검색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아노다이징 유/무에 따라 방사율은 달라집니다.

 

1. 온도가 방사율에 미치는 영향

  *전해액 : HCO₄ (수산-아노다이징)

 → 절대온도에 따라 아노다이징의 방사율은 2배에서 3배까지 차이나 날 수 있습니다.

 

 

2. 아노다이징 시킨 시간이 방사율에 미치는 영향

  *전해액 : HCO₄ (수산-아노다이징)

 → 아노다이징 시킨 시간이 길수록 방사율값이 증가합니다. 

 

 

3. 아노다이징 된 알루미늄 표면 두께와 방사율

  *전해액 : OSO(황산-아노다이징)

 → 적외선 파장(3 ~ 20& 3 ~ 8)에서 아노다이징 두께가 증가할수록 방사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 적외선 파장(8~20)에서 아노다이징/무에 따른 방사율은 0.22에서 0.95로 증가합니다.

 

 

*아노다이징 전해액에 따른 분류

항 목

수산법

HCO

황산법

HSO

특징

- 두껍고 강한 피막

- 내식성 우수

- 용액 가격이 비쌈

- Al 산도, 내식성 등 최 우수한 피박

- 순도가 낮은 Al에도 피막과 광택이 좋음

- 일본에서 주로 사용

- 가장 널리 쓰임

- 경제적

- 투명한 피막

- 염색성 우수

- 내식, 내마모성 우수

- 유지 용이

- 착색력 우수

-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

*참고자료

  1.  알루미늄의 표면상태와 열 방사율에 관연 연구

  2.  양극 산화된 알루미늄의 적외선 복사 특성 연구

금속/비금속 표면에 다른금속으로 피막을 만드는 것

    전기도금, 화학도금, 용융도금, 진공도금, 침투도금, 이온도금 등

 

전기도금 대부분의 도금

  :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비금속에 다른금속을 피막하는 방법 (장식품, 공업용품 등)

 

화학도금(무전해도금)

  : 화학반응을 통해 피막을 만들어주는 방법(플라스틱 제품, 금속제품의 일부)

 

용융도금(강판 주석처리, 갈바나이징)

  : 금속을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의 용융체에 담가서 용융금속의 피막을 만들어 주는 방법 (아연/주석도금 강판 )

 

공업용 도금 : 기능향상 목적

 - 내마모성 : 경질Cr , Ni , SiC,

 - 윤활용 : Cr, Sn(주석) , In 도금

 - 내열성 : Cr, W-Co합금도금

 - 전자공업용 : Au, Ag, Cu, Ni, Sn, Pb

회사에서 자주 사용하는 구리 재질인 C2680½H R이 있는데,

 

여기서 R의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½H의 의미도 찾아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R은 원자재 모양이 띠모양이란 뜻이며, ½H 는 경질의 정도입니다.

 

명 칭 모양
C2680R 띠 
C2680P 판 

 

C2680 P 연질 or 경질 두께 인장강도
O - 연질 0.1 ≤ t  30 275 ↑
1/4H - 경질 0.1 ≤ t  30 325 ~ 410
1/2H - 경질 0.1 ≤ t  20 355 ~ 440
3/4H - 경질 0.1 ≤ t  20 375 ~ 490
H -경질 0.1 ≤ t  10 410 ~ 540

 

'설계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노다이징과 방사율 관계  (0) 2019.12.23
도금  (0) 2019.09.10
가공의 종류  (0) 2019.09.05
Engineering Plastic - 기계적, 열적, 화학적, 전지적 특성  (0) 2019.08.22
MMC (Max Material Condition) 계산  (0) 2019.08.21

1. 절삭 가공

 

 

2. 비절삭 가공

 

데이텀 B를 무시했을 경우,

 

8.0±0.2 의 치수변화는 아래와 같다.

* 중량이 최대일 때 기본공차 적용, 중량이 감소할 대마다 + 추가공차

 

예를 들어 MMC 공차를 구해보면

 

현재 치수가 8.1이라고 했을 때

 

7.8 - 8.1 = 0.3 이 된다.

 

0.3을 위치도 0.8과 합한 1.1이 최종 공차가 된다.

 

따라서 각 치수의 최종 공차를 구해보면 아래 표와 같다.

 

 

추가로 데이텀 B를 고려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공차를 갖는다.

 

 

1. Boss 빼기구배는 외경측 1°, 내경측 1.5°정도 한다.

2. 높이는 20mm 이하로 할 것(20mm 이상일 때는 빼기 구배로 인해 근원(하단부) 직경이 커짐)

3. 높이가 높은 boss는 보강 및 수지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해 측면에 Rib를 추가한다.

4. Boss 근원(하단부)의 R은 0.5 이상, 벽두께의 1/4 이하로 한다.

5. 측벽과 가까운 boss는 rib로 연결한다.

6. boss와 boss의 간격은 직경의 2배 이상하는 것이 좋다.

 

나사 직경에 따른 보스 내/외경

나사 호칭 외경(Ø) 내경(Ø)
M2 4 1.7
M2.5 5 2.1
M3 6 2.5
M3.5 7 3
M4 7 3.3

 

*참조 : [ 제품설계-개발공학_저자 : 이국환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