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lloon Drawing을 쉽게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무료 프로그램인 픽픽(PickPick)을 사용하면 쉽게 넘버링을 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픽픽을 검색하신 후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프로그램 설치 후,

넘버링 할 도면을 열어둔 다음 아래 화면의 '영역을 지정하여 캡처'를 클릭하여 도면을 캡쳐합니다.

 

 

아래와 같이 도면이 캡처되었다면, 상단의 '스탬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기호를 삽입할 수 있는데, 그중 '①' 이 넘버링 기능입니다.

색깔은 원하는 색으로 넣으면 됩니다.

 

 

원하는 색을 선택한 후 아래와 같이 캡처된 도면 치수 근처에 도장을 찍듯이 마우스 왼쪽 버튼을 순차적으로 클릭해주면

도면 넘버링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넘버링 된 기호의 크기, 윤곽선 색깔, 배경색 등 편집이 가능하며, 마우스 드래그로 위치도 조정이 가능합니다.

열처리에 대해 정리 중...

 

항 목 내 용
조질열처리
(QT)

담금질
(소입)
Quenching - 목적 : 탄소강 경도 증가
- 오스테나이트 조직 형성 후 급랭 →마르텐사이트
- 매우 단단하나 전연성이 없음
뜨임
(소려)
Tempering - 마르텐사이트 조직은 깨지기 쉬움
- 재료 내부 응력이나 질량효과를 완화해 경화된 재료에 인성을 부여
풀림
(소둔)
Annealing - 적당한 온도로 가열 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열처리
- 경화된 재료의 경도를 낮추는 작업
불림
(소준)
Normalizing - 잔류응력을 제거하거나 조대화한 결정입을 미세화하는 것
- 인성이나 기계적 성질의 개선이 목적
- 일정한 온도로 가열 후 공랭시킴

 

냉방 사이클에 대한 개인적인 공부

 

 

베르누이 방정식

 : 비압축성 유동일 때,

 

P + ρ x v²/2 + ρgh = 일정

P : 압력

ρ : 밀도

v : 유속

g : 중력가속도

h :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

 

** 유체(냉매)가 TXV를 지날 때 유체의 압력이 낮아짐

   → TXV는 관의 직경이 작아지는 관

   → 유량이 일정할 때 관의 직경이 작아지면 유속이 증가함

   → 유속이 증가하면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압력이 감소함

   →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가 일어남

알루미늄 합금 표기 시 AL2020, AL6061 등 숫자 'AL' 글자 뒤에 4자리를 표기함

숫자 4자리중 왼쪽 첫번째 자리는 주요 합금을 나타냄

 - 2000계열 : 구리

 - 3000계열 : 망간

 - 4000계열 : 실리콘

 - 5000계열 : 마그네슘

 - 6000계열 : 마그네슘 + 실리콘

 - 7000계열 : 아연

 

왼쪽 두번째 숫자는 합금개량을 나타냄

나머지 2자리는 큰 의미 없음

 

추가로 4자리 뒤에 있는 글자는 열처리를 나타냄

EX) T3 : 용체화처리, 냉간 가공

사용자가 설정한 압력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출력해주는 설비

(ex 1 bar의 압력(공압)을 1초동안 출력)

 

대략적인 내부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기체(공기 or 기타 기체)가 Input pot로 들어간다.

2. 레귤레이터의 정해진 압력만큼 기체가 압력게이지로 전달된다.

3. 압력게이지에 압력이 표시되고 스위치(솔레노이드 밸브) On/Off 여부에 따라 기체가 Output Pot로 출력된다.

4. 외부 패달(기타 기계식 스위치)의 On/Off 신호를 디스플레이(Main Board)가 전기 신호로 받아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한다.

5.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를 통해 압력 분사 시간을 설정 할 수 있다.

*용어는 다소 다를 수 있음

 

주요 구성품

 - 레귤레이터(Regulator)

 - 압력게이지 (Pressure gauge)

 - 솔레노이드 밸브 (Solenoid valve)

 - 디스플레이 (Main board 포함)

 

압력의 크기에 따라 레귤레이터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Spec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사진처럼 생긴 제품을 원터치 피팅이라고 합니다.

규격은 사진처럼 되어있습니다.

사진의 치수는 호수 외경 지름입니다. 단위는 (mm)

 

가격대는 개당 평균 1,500원정도 하는 것 같습니다.

수직 사출기

  형체와 노즐이 수직으로 구성되어있음

특징

 - 설비를 설치하는 면적이 수평사출기에 비해 작다.

 - 인서트(Insert) 사출 시 부품 삽입이 수평사출에 비해 쉽고 안정적이다.

   (하측 금형을 여러벌 제작할 때, 부품 삽입 속도와 사출 사이클 타임등을 고려해야 한다)

 - 노즐부가 수직으로 놓여있어 수지의 흐름이 균일하다.

 - 인서트 사출 시 부품 사입에서 Human Error 발생이 생길 수 있다.

 

수평 사출기

  형체와 노즐이 수평으로 구성되어있음

특징

 - 고속 성형이 가능

 - 사출품 추출이 용이함 (자동 추출 가능)

 - 보수 점검에 편리

 - 금형 교체가 수직 사출기에 비해 편리함

 - 인서트 사출 시 수직 사출기에 비해 부품 삽입이 어려움

- 냄비머리 나사 (Pan Head Screw)

- 접시머리 나사 (Flat Head Screw)

- 트러스 머리 나사 (Trus Head Screw)

- 바인드 머리 나사 (Bind Head Screw)

- 둥근머리 나사 (Round Head Screw)

- 육각머리 나사 (Hexagon Head Screw)

- 육각홈붙이머리 나사 (Socket Head Screw)

- 평머리(납짝머리) 나사 (Cheese Head Screw)

- 둥근접시머리 나사 (Oval Countersunk Head Screw)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