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 : Flame Retardant → 내연제

 

에폭시 레진이 함침된 유리 섬유가 여러겹으로 쌓여 있는 것이다.

 

치수변화나 물의 흡수성이 적어 습한 곳에서도 높은 전기 전열성을 가진다.

 

주파수 특성 및 열과 강도 등이 기타 다른 재질과 비교할 때, 가장 평균치에 가까운 재질이다.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질이다.

- 휘발유 : 공기와 연료를 섞은 혼합기 속에 불꽃을 터트려 인공적으로 폭발하게 하는 방식.

             높은 마력으로 고속주행 가능하다.

             승차감과 소음이 경유차보다 좋다.

 

- 경  유 : 압축되어있는 공깅 연료를 안개처럼 분사하여 자체적으로 폭발하도록 유도하는 방식.

             폭발이 골고루 하게 되어 연료 효율이 휘발유차보다 높다.

             이는 같은양의 연료로 더 큰 효율을 내기 때문에 무거운 하중을 견디는 버스/트럭 등에 많이 사용 된다.

             경유는 높은 토크가 발생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크다.

일반적으로는 편람에 있는 카운터보어 치수를 활용한다.

또는 나사 규격에 +10%정도를 Hole 지름으로 설계 한다.

 

 

아래 설계된 2D도면에서 M5 나사(Screw)를 사용하기 위해 제품 Hole은 Ø5.5로 설계되었다.

'설계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Anodizing)  (1) 2019.06.20
PCB 재질 중 FR-4  (0) 2019.06.20
금속 열전도도 (Thermal Conductivity)  (0) 2019.05.14
PCB 동박 두께_1oz , 2oz ...  (0) 2019.05.07
방사율 (Emissivity)  (2) 2019.05.07

Fly mode 전

Fly mode를 사용하기 전에 제품 단면이 위 사진처럼 보였습니다.

Fly mode 후

Fly mode 사용 후, 제품 단면이 위 사진처럼 보이게 되었습니다.


제품 단면을 초기 화면처럼 보고 싶다면,
아래 사진처럼 View → Render Style → Parallel 선택 하면 됩니다.

위 사진처럼 빨간색 선과 파란색 선이 겹쳐있을 때, 원하는 선을 쉽게 선택하기 위한 팝업창 On/Off 하는 방법입니다.


Ctrl + w 키를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위의 팝업창을 On/Off 할 수 있다.


아래 사진처럼
명령어 Selectioncycling 값은 <2>로 되어있어야 합니다.

열전도도란 열전도현상에 의해 열전도가 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재료의 물리적 물성치 를 말한다.

열전도도가 높으면 열전도가 잘 되는 재질이고, 열전도도가 낮으면 열전도가 잘 안되는 재질이다.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은 열을 방출시키는 목적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은 단열재로 사용된다.

 

*단위 변환

196kcal/mh

  - 1kcal = 4186.8 J

  - 1h     = 3600 sec

 

196kcal/mh= 196 x 4186.8 J/(m x 3600s) x

                      = 227.95 J/ms

                      = 227.95 w/m    ; J/s = W

 

1℃온도차는 1K온도차와 같으므로

W/m·℃W/m·K 의 수치는 같다.

 

1kcal/mh℃ = 1.16W/mK

 

 

'설계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Anodizing)  (1) 2019.06.20
PCB 재질 중 FR-4  (0) 2019.06.20
나사(Screw) Hole 지름 설계할 때 참고  (0) 2019.06.17
PCB 동박 두께_1oz , 2oz ...  (0) 2019.05.07
방사율 (Emissivity)  (2) 2019.05.07

Catia(카티아)를 사용할 때 분명 스케치에서 완벽하게 구속을 시켰는데 선이 흰색으로 보일 때가 있을 수 있다.

아래 캡처한 사진을 보면 스케치가 완벽하게 구속되어있는데 선은 흰색으로 나타난다.

만약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면 Visualiztion 창에서 Diagnostics 를 확성화 시켜주면 된다.

위의 비교 사진을 보면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PCB 동박 두께를 나타내는 단위는 oz [온즈 or 온스]로 나타내고 불린다.

1oz는 약 35㎛이다.

 

1oz는 무게의 단위로 약 28.35g으로 환산할 수 있다. 

PCB 동박 두께에서 1oz라 하면 1ft(가로) x 1ft(세로)의 원판에 동박을 일정 높이로 깔았을 때의 높이(두께)를 말한다.

 

계산은 아래와 같다.

 

부피 = 무게 / 밀도

       = 1oz / 8.92g/㎤)  ; 구리 밀도 : 8.92g/㎤

       = 28.35g / 8.92g/㎤

       ≒ 3.18

 

1ft = 30.48㎝ 이므로,

 

3.18㎤ = 30.48㎝(가로) x 30.48㎝(세로) x 높이(두께) 가 된다.

 

따라서 1oz의 PCB 동박 두께는

두께 = 3.18㎤ / 30.48²㎠

       = 0.00342㎝ = 34.2㎛

 

편의상 35 말한다.

 

 

그러므로 

동박 1oz = 35

       2oz = 70

            .

            

            

비례해서 커지게 된다.

 

 

'설계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Anodizing)  (1) 2019.06.20
PCB 재질 중 FR-4  (0) 2019.06.20
나사(Screw) Hole 지름 설계할 때 참고  (0) 2019.06.17
금속 열전도도 (Thermal Conductivity)  (0) 2019.05.14
방사율 (Emissivity)  (2) 2019.05.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