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텀 B를 무시했을 경우,

 

8.0±0.2 의 치수변화는 아래와 같다.

* 중량이 최대일 때 기본공차 적용, 중량이 감소할 대마다 + 추가공차

 

예를 들어 MMC 공차를 구해보면

 

현재 치수가 8.1이라고 했을 때

 

7.8 - 8.1 = 0.3 이 된다.

 

0.3을 위치도 0.8과 합한 1.1이 최종 공차가 된다.

 

따라서 각 치수의 최종 공차를 구해보면 아래 표와 같다.

 

 

추가로 데이텀 B를 고려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공차를 갖는다.

 

 

1. Boss 빼기구배는 외경측 1°, 내경측 1.5°정도 한다.

2. 높이는 20mm 이하로 할 것(20mm 이상일 때는 빼기 구배로 인해 근원(하단부) 직경이 커짐)

3. 높이가 높은 boss는 보강 및 수지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해 측면에 Rib를 추가한다.

4. Boss 근원(하단부)의 R은 0.5 이상, 벽두께의 1/4 이하로 한다.

5. 측벽과 가까운 boss는 rib로 연결한다.

6. boss와 boss의 간격은 직경의 2배 이상하는 것이 좋다.

 

나사 직경에 따른 보스 내/외경

나사 호칭 외경(Ø) 내경(Ø)
M2 4 1.7
M2.5 5 2.1
M3 6 2.5
M3.5 7 3
M4 7 3.3

 

*참조 : [ 제품설계-개발공학_저자 : 이국환 ]

 

 

 

만들 시간이 많이 없어서 이전에 만들어 놓은 파츠들의 데칼과 먹선 마감까지 하는데 오래 걸렸습니다.

 

연료통 둘레를 반절씩 나누어 붙이는 데칼은 위치 맞추는게 너무 어려웠습니다.

 

그리고 금색부분은 부분도색을 했고, 그곳에 붙이는 데칼 위치를 설명서를 제대로 보지 않아서 잘못 붙였으나

크게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

틈틈이 시간내서 완성했습니다.
도색은 안 했으며, 데칼은 보이는곳만 열심히 붙였습니다.

기체에 여러장비를 붙이다보니 무게감이 느껴졌지만 포즈를 잡을때는 무가가 주렁주렁 메달려있어서 포즈잡는건 포기했습니다.

다음 목표는 벤시로!!

일반적인 구배넣는 방법은 알고있다는 전제로 설명합니다.

위의 사진에서
왼쪽은 일반적인 구배로 면 전체에 구배가 적용되었습니다.
오른쪽은 일정부분만 구배가 적용 되었습니다.

우선 Draft 아이콘을 누른 후 우측 하단의 More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위의 창이 뜹니다.
2번 - 원하는 구배 각도와 구배 면을 선택
3번 - 구배면으로부터 기준면 설정
4번 - Define parting element 체크 후 구배면을 제한할 평면 설정
*구배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려면 3번과 4번 평면이 동일해야 합니다.

설정을 끝냈으면 Preview로 확인 후 OK를 누릅니다.

----------------------------------------------------------------------------------------------------------

< 3번 4번 항목의 평면이 다를 때 >

만약 3번의 기준평면과 4번의 평면이 다르게 되면 아래처럼 구배가 적용됩니다.

오른쪽 부분 구배를 준 형상이 글 맨처음 사진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열가소성수지 : 열을 빼앗기면 고체가 되는 수지

 종 류 기 호 특 징 비 고

Polyamide

(PA)

PA66 – GF35

 

NYLON-66 수지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질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로써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부품, 그리고 각종 산업자재로 널리 쓰입니다. 인장강도 우수, 자기윤활성 및 내마모성 우수, 뛰어난 내약품성, 높은 사용온도에 사용

습기를 흡수하여 제품의 치수가 커지는 단점이 있음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BT-GF30

PBT우수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질을 갖고, 특히 전기적인 성질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로써 산업전반에 걸친 주요부품으로 사용되며, 특히 전기.전자 분야에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높은 열변형 온도, 내마모성 양호, 우수한 전기적 특성, 표면 광택 우수, 저흡수율, 뛰어난 내 약품성, 우수한 가공성. 취성이 약하여 깨질 우려 있음

 

Polyphtalamide

(PPA]

PPA

1. 고강도, 고강성, 고내열, 저흡수율, 약품성 치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

2. 내열성이 우수함. 융점 : 310

3. PA중에서 가장 우수한 원재료 임

. 가격이 비싸며, 금형온도가 120℃정도로 온도가 높아 Insert 작업 시 작업성이 떨어짐

 

 

Glass Fiber

(GF)

 

GF30, GF50

 

Glass Fiber는 유리섬유로 레진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넣는 첨가제중 하나이며 Glass Fiber 형상에 따라 Long Glass, short Glass, Glass bead(GB)

나눈다.

1. 인장강도 강하고, 신장률이 적다

2. 전기 절연성이 크다

3. 내마모성이 적고 부서지기 쉽다

4. 사출시 제품 표면에 Glass Fiber삐져

    나오기도 함.  

 

 

Polyacetal,

Polyoxymethylene

(POM :아세탈]

 

POM

 

흔히 아세탈이라 불림

1. 넓은 온도 범위에서 뛰어난 내크리프성을 나타

    (내크리프성: 열적 변형이 없는 상태)

2. 각종 기름이나 약품에 거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음

3.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가장 내마찰 마모성이 뛰어나고 자기 윤활성이

   있기 때문에 무급유 부품임

사출시 치수변화 및 강도변화가 심함

 

기어류에 사용

Polypropylene

(PP)

 

PP

PP의 특징

1. 다른 수지에 비해서 비중이 적어 물에 뜬다(0.9)

2.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며 무해하다

3. , 알카리, 염수, 알코올, 가솔린, 오일에 강하다

4. 힌지성이 우수하다

단 인장강도, 경도는 높으나 충격강도는 떨어짐

 

 

Epoxy

(에폭시)

 

EP

 

1. 성형 수축이 작고 내열, 내마모성, 내약품성이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수명이 영구적임

 2. 수지는 경화에 있어 반응수축이 매우 작고 또한 휘발물을 발생하지 않음

 3. 계절온도에 따른 물성의 변화가 거의 없음

 4. 장시간이 지나도 도막이 벗겨지지 않음

단 가격이 비싸며 경화시간이 길다

 

 

Silicon

(실리콘)

 

SI

 

규소를 원료로 함

내열성과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성, 물에 대한 발수성이나 내수성전기적 절연성 등이 우세하며 인체에 무해함

 

 

 

'설계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C (Max Material Condition) 계산  (0) 2019.08.21
Plastic 사출물 Boss 설계  (0) 2019.08.20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Anodizing)  (1) 2019.06.20
PCB 재질 중 FR-4  (0) 2019.06.20
나사(Screw) Hole 지름 설계할 때 참고  (0) 2019.06.17

55,000원이라는 거금을 투자하여 구매하였습니다.

새벽운동 회사 육아 의 반복적인 삶에서 조립할 시간이 많지는 않지만 틈틈이 만들 계획입니다.

도색은 하지 않을 것이고, 데칼작업먹선작업과 마감제만 할 예정입니다.

우선은 무기부터 시작하려고 합니다.

(본체부터 만들면 꼭 무기는 안만들고 상자에 고이 모셔두는 습관이 있어서…)

728일 주말에 1시간정도 시간내서 만들었습.

 

방패 3개와 연료통? 그리고 라이플을 만들었습니다.

방구석에 앉아서 하다보니 허리가 너무 아프네요.

 

방패 하나에 데칼 풀로 완성!

 

이번에는 처음으로 풀 데칼에 도전할 예정입니다.

 

언제 또 만들지 모르겠지만 다음을 기약하며~

Auto Cad 사용할 때 마우스로 이동하는 십자선 색깔 바꾸는 방법.

명령어 창에op (options) 입력 → 화면표시 → 색상 → 십자선 → 색상 → 원하는 색 선택 후 확인

아래 캡처 참조

금속을 양극에 걸고 희석-산의 액에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소지금속과 강한 밀착력을 갖는 산화피막이 형성된다.

양극산화란 양극(Anode)과 산화(Oxidizing)의 합성어(Anodizing)이다.

전기도금에서 부품을 음극에 걸고 도금하는것과는 차이가 있다.

양극산화의 가장 대표적인 소재가 알루미늄이고, 그 외 Mg, Zn, Ti, Ta, Nb등의 금속 소재상에도 아노다이징 처리를 한다.

 

철이나 구리에는 아노다이징을 할 수 없고, 부식을 막기 위해 니켈이나 주석등의 도금을 한다. 산화철이나 산화구리는 물질에서 쉽게 떨어지고 부서지기 때문이다.

 

경질 아노다이징은 산화막을 두껍게하여 금속의 경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연질 아노다이징은 산화막을 얇게하여 부식을 막고 미관상 좋게 하는것이 목적이다.

 

금액은 경질 아노다이징이 연질에 비해 약 2배정도 높다.

 

항 목 두께  표면경도 (Hv) 특징
연질 아노다이징 3 ~ 20 130 ~ 250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경질 아노다이징 15 ~ 120 250 ~ 650

 

+ Recent posts